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밀도로지도, 일반국도까지 지원

전국의 고속국도·일반국도에 자율주행용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밀도로지도, 일반국도까지 지원

HRD뉴스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전국의 고속국도·일반국도에 자율주행용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밀도로지도, 일반국도까지 지원


- 전국의 고속국도·일반국도에 자율주행용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조우석)은 전국의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의 구축을 완료하고 플랫폼 서비스 준비기간을 거쳐 4월 27일부터 기업 및 국민에게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를 이용하는 자율주행차의 안전도를 향상시켜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정보플랫폼.png
사진 설명 : 국토정보플랫폼 누리집 갈무리 화면

자율주행 핵심 인프라 정밀도로지도는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에서 누구나 무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정밀도로지도는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을 도로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한 고정밀 전자지도로서, 차선 단위의 차량위치 결정이 가능하여 자율주행을 지원하도록 제작된 지도이다.


<정밀지도 개요>

빅데이터(점선면+속성).png

점군데이터(점기반자료).png

벡터 데이터(점ㆍ선ㆍ면 + 속성)

점군 데이터(, 기반자료)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고정밀 내비게이션, ADAS{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차량이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하는 전자 제어 시스템} 등에 활용 가능하며, 도로 시설물 관리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구축 성과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 구축된 정밀도로지도가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자료 구조 개선(Open Drive format: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로 자율주행을 위한 시뮬레이션,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관제 등에 활용) 했으며, 판교 자율주행 시범지구 일부 구간에 대해 제공할 예정이다.


<정밀지도 제작과정>

정밀도로지도 제작과정.png


정부는 ’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일정에 맞추어 도심 및 주요도로를 대상으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할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등)의 특별광역시도 및 지방도(4차로 이상) 구축을 시작으로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등으로 범위를 확대해 제작할 예정이다.


국토지리정보원 조우석 원장은 “정밀도로지도가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에 활용되도록 관련 민간ㆍ공공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구축하고 지원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HRD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